무증상 간기능 검사 이상 환자의 진단적 접근
페이지 정보
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0-11-27 14:49 조회1,458회 댓글0건본문
정상 간기능 범위는 건강 성인군의 평균 수치에서 상하 표준 편차의 2배수의 범위로 정의된다.
1.아미노전이효소의 상승
원인: 만성 b형 간염, 만성 C형 간염, 알코올성 간질환,약제 관련 간손상, 지방간 및 지방간염, 자가면역성 간염
initial tests
HBsAg,HBs Ab,anti-HBc IgM
HCV Ab
serum iron, total iron-binding capacity
serum protein electrophoresis, anti-nuclear antibody
serum ceruloplasmin
약인성 간손상
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, 항간질약제,고지혈증 치료제,항결핵제
약인성 간손상은 약제 투여 이후 간 효소의 상승을 보이며, 투여 중단시 간효소는 감소하게 된다.
지방간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염
AST/ALT <1
치료는 탄수화물 줄이고 체중 10% 이상 감량 및 운동
자가면역성 간염
중년 여성에 호발, 간조직 검사상 piecemeal necrosis
혈청 고감마글로블린혈증,자가면역항체 양성, 다른 간질환의 원인이 없는 경우
혈색소침착증
백인에서 비교적 흔한 상염색체 열성 유전성 질환
장에서 과다한 철분 흡수로 간,췌장 및 내부 장기의 철분 침착을 특징으로 함. 혈청 철, 총철결합력 검사가 유용한 선별검사
트랜스페린 포화도가 45% 이상인 경우 강하게 의심할 수 있다.
윌슨씨 병
보통 5세 25세 사이 진단, 혈청 세룰로플라스민이 선별검사
윌슨씨 병 환자 85%에서 감소, 안과 검사상 카이세르-플라이셔륜(Kayser-Fleischer ring)이 관찰됨.
2.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상승
알카리성 포스파타제는 간,뼈,백혈구, 장, 태반 등에 분포하며 혈청내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는 대부분 간과 뼈에 기인함.
진단: 전기영동을 통해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상승의 원인을 찾는 것
5-nuclootidase, GGT
원인: 담도 폐쇄,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,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, 특발성 성인성 담관감소증, 스테로이드 약제에 의한 담즙 정체
진단방법: 복부초음파, antimitochondrial antibody
(+):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
anti-mitochondrial antibody(-), 초음파(-)시에도 혈청 알카리성 포스파타제가 정상치의 50% 이상 상승한 경우
간조직 검사, ERCP or MRCP 요함.
정상치 50% 이하 상승 다른 간기능 검사가 다 정상이라면 경과 관찰 할 수 있다.
3.GGT의 상승
비특이적, 임상적 유용성이 떨어진다.
그러나 알코올 섭취 환자를 파악하는데 유용하여 GGT와 아미노전이효소의 증가와 함께 AST/ALT비가 2 이상인 경우 알코올성 간질환을 시사한다.
만약 GGT만 지속적으로 증가하거나, 타 간기능 검사 항목의 동반 이상이 관찰될 경우,복부 초음파 또는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실시하여 복강내 종괴 등을 배제하여야 하며, 간조직 검사를 고려하여야 한다.